주왕산 산행일기
◆ 산행일자: 2009년 04월 25일 (당일산행)
◆ 산행날씨: 맑음
◆ 산행코스: 절골~가메봉~후리메기~3폭포~2폭포~1폭포~대전사~주차장
◆ 산행거리: 산행거리 - 14.6km,
◆ 산행시간: 약 4시간 46분(식사시간, 휴식시간포함. 11:36~16:20)
◆ 산행인원: 경기 우리산악회 회원을 리딩하여~~
◆산행개요
주왕산은 한반도 산맥의 중심 뼈대를 이루는 백두대간의 등줄기에서 국토 동남부로 뻗어나온 낙동정맥에 위치한다. 수많은 암봉과 깊고 수려한 계곡이 빚어내는 절경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3대 암산의 하나이다. 1972. 5. 30 관광지로 지정된 후 1976년 3월 30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의 총면적이 105.582 평방킬로미터로 행정구역상으로 청송군과 영덕군의 2개군 5개면에 걸쳐있고 북쪽에는 설악산과 오대산, 남쪽에는 경주, 서쪽에는 속리산과 덕유산등의 국립공원이 인접해 있으며 태행산, 두수람, 가메봉 등의 봉우리 외에도 주방계곡, 절골계곡, 월외계곡 등이 산재되어 있다.
수백미터 돌덩이가 병풍처럼 솟아있어, 신라 때는 석병산이라 부르다가 통일신라 말엽부터 주왕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산 이름의 유래는 신라 말부터는 주왕이 은거하였던 산이라 하여 주왕산 으로 불리게 되었다.
주왕은 중국 당나라 때 주도가 진의 회복을 꿈꾸며 후주천왕을 자칭하고 반역을 일으켰으나 당나라 군사에게 패하여 이곳 석병산(주왕산의 예전이름)까지 쫓기어 왔다.
이에 당나라 왕이 신라왕에게 주왕을 잡아달라 요청하여 주왕은 이곳에서 신라장군(마장군 형제들)에 의해 주왕굴에서 최후를 마쳤다고 전해온다.
주왕산의 특징이라면 산 이름을 주왕이라는 사람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왕산은 주왕과 관계된 전설의 산이기도 하다. 또한 주왕산은 설악산, 월출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암산(岩山) 중에 하나로 대전사 뒤편의 기암(旗岩)을 비롯하여 병풍바위, 급수대, 학소대, 시루봉 등 바위들이 많이 있다. 천년고찰인 대전사를 비롯한 사찰과 암자들이 있으며 아름다운 계곡(주방계곡, 월외계곡, 절골계곡)이 있다. 폭포(제1,2,3폭포와 달기폭포)가 있고 굴(주왕굴, 무장굴, 연화굴)이 있으며, 주봉(주왕산720m),가메봉(882m),장군봉 등의 산봉우리가 있다. 또한 공원내에 달기약수터가 있고 아름다운 주산저수지(注山池)가 있다.
↓ 산행지도
↓ 산행이 시작되는 절골계곡으로 산행을 위해 진입을 합니다. [11:36]
↓ 절골 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하여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됩니다.
↓ 선두에서 산행을 하시던 산우님들과 조촐하게 기념사진을 남긴다.
↓ 오늘 산행중 가장 아름다웠던 단풍입니다.
↓ 가메봉 삼거리에 도착합니다.
↓ 가메봉정상의 탐방로 안내표지판입니다.
↓ 가메봉 정상에서 바라본 주왕산방향의 조망입니다.
↓ 왕거암방향의 조망입니다.
↓ 절골계곡 방향의 조망.
↓ 가메봉 정상의 노송입니다.
↓ 정상에서 너무 오래 지체하기가 곤란하여 후리메기 방향으로 진행을 하다가 적당한 곳에서 점심식사를 하기로 합니다.
↓ 점심식사를 마친후 하산길에서 같이 산행한 여정님과 여산우님. 오늘 두분은 저의 전속모델입니다.
↓ 3폭포에 도착합니다.
↓ 2폭포로 이동중 입니다.
↓ 2폭포에서 나와 1폭포롤 이동중에 말벌통을 발견하여 담아봅니다.
↓ 주왕굴에도 들러봅니다.
↓ 대전사에서 바라본 주왕암의 전경입니다. 단풍과 은행나무가 잘 어울림니다.
즐거운 산행길 같이하신 모든님들과 행복했던 산행이었습니다.
'[산행흔적] > 경상도 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장마비 속 백운산으로 짧은 산행 (0) | 2010.02.25 |
---|---|
20091122 -사량도 지리산 산행일기 (0) | 2009.11.23 |
090502 - 황매산 철쭉산행 (0) | 2009.05.03 |
090425 - [주왕산. 주왕지] (0) | 2009.04.21 |
090411 - [주차장~문수산~내연산~향로봉~꽃밭등~삼거리~청아골~보경사] (0) | 2009.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