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산경표의 문제점 정리하여야 할 몇 가지 문제점 권태화님께서 블로그 '산줄기를 따라서'에 올린 신산경표의 문제점 (http://blog.daum.net/1kthlg2/1049)에 대한 보충설명입니다. 여기에 쓴 글 (청색)은 분명한 사실과 책을 만들면서 생각했던 내용을 정리한 것이지 논의에 대한 반박이 아님을 밝힘니다. 정리하여야 ..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양보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18세기의 지리학과 신경준 학문의 내용과 수준은 그 시대의 생활양식의 구조와 지식의 축적 속에서 형성된다. 조선시대의 자연과 공간, 지리에 대한 인식체계의 변화는 조선 사회의 생활양식의 변화와 지식의 축적을 반영..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조선시대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양보경 /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1. 머리말 산지가 국토의 3/4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산지는 옛부터 사람들의 삶의 바탕이었다. 사람들은 산지를 생명의 원천으로 인식하여, 산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산을 포함한 땅을 삶의 원형적 존재..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1.백두대간의 이해 2.문헌에 나타나는 백두대간 3.산경표의 백두대간 4.고지도의 백두대간 5.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상이 6.山, 峰, 岳, 臺, 德, 嶺, 峙의 차이 ... 7.옛 지명과 현 지명의 비교. 1. 白頭大幹의 理解 ①백두대간은 우..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우리나라 고지도의 마무리 / 대동여지도 우리나라 고지도의 마무리 - 대동여지도 다시 보는 김정호 <대동여지도>가 잘 알려진 데 비해 제작자 김정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나마 전해 오는 일화로 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전국을 세 차례나 답사하고 백두산을 일곱 번이나 등정했으며, <대동..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大東輿地圖》는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조선을 남북 22폭(또는 층)으로 나누어 만든 목판본 대축척 조선 지도책이다. 1864년(고종 1)에는 일부분을 수정하여 재판하였으며, 목판의 일부가 국립중앙박물관과 숭실대박물관 등에 현존하고 있다. 각 폭..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산경표 우리나라 산줄기[山脈]의 흐름, 산의 갈래, 산의 위치를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해놓은 지리서. <산경표>(신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필사본. 저자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여암 신경준(申景濬:1712~81)이라고 전해왔으나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이 책이 신경준의 저술인 〈동..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한국의 옛지도-`조선팔도지도(朝鮮八道之圖) 한국의 옛지도-'조선팔도지도(朝鮮八道之圖) 시사 월간지 신동아는 만주 지역이 조선의 영토였음을 입증하는 유럽 고(古)지도가 대량으로 발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경희대 부설 혜정박물관(관장, 김혜정교수)은 18세기 압록강-두만강 이북 집안, 간도지역이 조선의 세..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동아시아에서 가장오래된 지도 2번째 오래됨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약칭: 강리도(疆理圖) 일본인들의 복사본 2개 중 하나. ☞ 클릭하시면 크게 펼쳐짐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曆代國都之圖) 왜 만들었나? 조선 초기 수도 이전.. 산경표 2015.12.20
[스크랩] 산경표를 위하여 산경표를 위하여 백두대간의 기록 시작하며 예로부터 우리에게는... 무엇이 다른가? 산의원리 물의원리 강은 흐른다 산도 흐른다 이땅의 산줄기를 그려보면 1대간 1정간 13정맥 산과 강이 인간에게 부여하는 의미 산맥이란 ? 지리는 배워서 어디에 쓰나 산경표를 알고나면 산경표는 말한.. 산경표 2015.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