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자료]/한남금북 정맥

[스크랩] 한남금북정맥 종주계획

은빛날개 2012. 12. 16. 09:40

 

1. 한남금북정맥은 어디에 ?

 

 

2.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이란 ?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졌다.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

 

한남금북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 천황봉(1,057m)에서 분기하여 북서쪽으로 그 맥을 이어가, 충북의
북부내륙을 가르며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에
 이르는 도상거리 약 151km의 산줄기이다
.
  속리산권을 벗어나면  좌구산(657.4)이 최고봉이 될 만큼, 해발 600m 이하의 낮은 산줄기를 이루고
있지만, 시종 충북 내륙의 오지를 관통하며 호젓한 산세를 유지하고 있다.
속리산 천황봉을 비롯하여
서원산, 시루산, 구봉산, 국사봉, 선두산, 선도산, 상당산, 구녀산좌구산, 칠보산, 보광산, 큰산, 보현산,
소속리산, 마이산, 황색골산, 도솔산, 칠장산 등에 걸처 마루금을 이룬다
.
  이 마루금의 동쪽은 괴산·음성·충주 등 중원의 남한강지역과, 서쪽의 보은·청주·증평·진천 등 금강 북부
지역의 생활 문화권을 가름하였다. 한 때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이 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자연스러운 경계의 한부분을 이루고 있다.

 

안성의 칠장산에 이른 한남금북정맥은, 서북쪽으로 김포의 문수산까지의 한남정맥과, 남서쪽으로
태안반도의 끝인
흥진까지 이어지는 금북정맥으로 분기하게 된다.

 

 

3. 한남금북정맥 종주 구간계획표

구간 구간명         거리(km) 접속거리 지역
1구간 속리산 대목리(2.7)→천황봉(2.8)→667.3봉(6.1)→갈목재(1.7)→545.7봉(2.8)→말티고개 13.40 2.70 보은군
2구간 구봉산 말티고개(2.0)→새목이재(2.5)→구룡치(1.1)→수철령(2.5)→
백석리고개(1.6)→구티재(1.0)→탁주봉갈림길(1.3)→
작은구티재(5.6)→시루산(1.3)→구봉산(2.0)→
벼제고개(0.8)→19번국도대안리고개
21.70   보은군
3구간 선도산 19번국도대안리고개(3.0)→상암재(3.1)→602.1봉(2.3)→
살티재(1.3)→국사봉(3.2)→추정재(2.1)→483.1봉(4.1)→
선두산(2.5)→선도산(1.8)→현암삼거리
23.40   보은군
 청원군
4구간 상당산 현암삼거리(3.0)→상봉재(1.1)→산성고개(2.0)→
상당산(7.5)→이티재(1.0)→구녀산(1.8)→분젓치
16.40   청원군
청주시
5구간 칠보산 분젓치(1.8)→방고개(2.5)→좌구산(2.7)→질마재(2.8)
칠보치(1.7)→칠보산(3.3)→송치재(1.3)→모래재
16.10   청주시
괴산군
6구간 큰산 모래재(1.6)→보광산(3.6)→내동고개(2.7)→보천고개(1.8)→가정자(1.7)→행치고개(1.0)→큰산(2.2)→삼실고개(1.8)→
돌고개(3.9)→보현산(1.0)→감우리(승주)고개
21.30   증평군
충주시
7구간 소속리산 감우리(승주)고개(2.6)→346.3봉(3.7)→소속리산(3.3)→
21번국도(4.2)→583번지방도(3.0)→쌍봉1리583도로(0.6)→쌍봉초교(2.7)→583도로
20.10   음성군
이천시
8구간 칠장산 583도로(3.0)→대야리도로(3.2)→마이산(1.3)→화봉육교(0.7)→황색골산(0.7)→저티고개(2.3)→9번지방도로(2.8)→
걸미고개(2.3)→좌벼울고개(2.3)→칠장산(1.5)-칠장사
18.60 1.50 이천시
안성군
      151.00    

 

 

출처 : 백두산우회
글쓴이 : 재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