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자료2/GPS 자료

[스크랩] 실전 GPS-1 - (달님)

은빛날개 2010. 11. 6. 13:45

GPS 실전 운용법

-GPS Setting

gps의 전원을 켜고 메인메뉴로 이동합니다.

메인메뉴-설정-지도로 들어가면,

         

 상단에6개의 작은 아이콘이 보입니다.

이렇게 6개입니다. 그림에서와 같이 셑팅을 합니다.


산행시작

트랙기록하기

산행시작15분전에 gps전원을 켜고 위성수신이완료되도록 합니다.

위성탐색이 끝나면 막대그래프로 위성수신 갯수와 강도가 표시됩니다.

최소한 4개 이상 위성을 신호를 수신하여야 사용가능합니다. 준비가 완료되면 다음단계...

페이지키를 눌러 메인메뉴로 이동합니다.

 

다음은 트랙 아이콘

1.메인메뉴-트랙 이곳에서 산행시작을 할 때 그림에서 off된 것을 on이 되도록 이동하고 엔터.

  이제부터 산행트랙이 기록되기 시작합니다.

                     

2.다음은 페이지 키를 눌러 트립컴퓨터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처음 산행기록이 있으면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 메뉴-재설정-삭제할 데이터선택 후 적용으로 이동 엔터하면 삭제 할것인지 물어봅니다.

ok로 가서 엔터하면 마지막 화면과 같이 깨끗이 비워집니다.

이 트립컴퓨터의 표시 창은 메뉴를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두 번째 재설정이 보이는 화면의 세번째 항목에 항목변경으로 들어가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 창으로 바꾸면 됩니다. 위 화면은 제가 즐겨 사용하는 항목들인데 보편적으로 이것이 제일 좋습니다.


이 트립컴퓨터는 산행이 종료되는 즉시 데이터 창의 기록을 메모지에 기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왜? 산행 끝나고 계속 켜두고 목욕하고, 식사 끝나고 집에 가서 확인하면 그 시간과 거리가 다 산행기록에 포함되어 전체속도가 빨라지든지 ,느려지고 산행거리도 틀려지기 때문입니다.


윗줄 지도설정 두 번째 화면에 보면 첫줄에 저장트랙 AUTO로 설정해 두었는데 이것은 날자가 바뀌는 시간에 자동으로 내, 외장메모리카드에 기록이 됩니다. 단, 외장메모리카드는 gps상에서 볼 수 없습니다. 내장메모리카드에 기록된 것만 볼 수 있습니다. 산행거리가 길어져 1만 포인트 이상 되면 트랙은 처음시작부분부터 지워지고 현재트랙이 기록됩니다.

 

메인메뉴

시스템을 들어가 보면 두 번째 화면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GPS가 켜져 있고 위성 신호를 정상으로 4개 이상 받고 있으면 GPS ON으로 나옵니다.

우리나라에서 WASS는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불가로,

다음은 위와 같이 맞추면 됩니다.

취소버튼을 눌러 전단계로 나옵니다.

디스플레이로 들어갑니다. 위와 같이 맞추면 됩니다.

맨 위 주간을 자동으로 맞추면 야간에 화면이 어두워져 보기가 나쁩니다.

백라이트는 더 줄여도 야간에 잘 보입니다. 또한 시간은 야간에 충분히 볼수 있도록 조정하면 되는데 15초가 적당합니다. 너무 오래 켜 있으면 배터리 소모가 빠릅니다.

다시 취소버튼으로 전단계 이동.

페이지 순으로 갑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되는 페이지 순을 정합니다.

위 화면은 제가 사용하는 페이지 순입니다. 페이지 순서를 바꾸려면 바꿀 항목으로 이동 엔터하면

네번째 화면과 같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동을 엔터하면 마지막 화면과 같이 나옵니다.

케서를 이동하여 엔터하면 이동이 됩니다. 

                      

시간 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맞춥니다.
단위  위와 같이 맞추어 둡니다.

지도데이텀은 국제표준인 WGS 84로 맞춥니다.

방위 디스플레이 항목은 도, 북쪽은 진북이나 자북중 선택, 나침반속도는 위와 같이 설정해 두면 편리합니다.

시간은 90sec 정도가 좋습니다.

메인메뉴는 이정도만 설명해둡니다.

출처 : 오래오래 산방
글쓴이 : 이거종 원글보기
메모 :

'산행자료2 > GPS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쉬운 독도법  (0) 2010.11.06
[스크랩] 독도법  (0) 2010.11.06
[스크랩] GPS 사용 비법  (0) 2010.11.06
[스크랩] 환상의 트랙백  (0) 2010.11.01
[스크랩] 60CSx 영문 메뉴얼 허접한 번역  (0) 2010.11.01